본문 바로가기
항공기초지식

항공 스케쥴 비정기편의 상세 알아보기

by fly-hi 2023. 12. 19.

 

항공 스케줄의 운영은 항공사에서 운영하는 정기 편과 비정기 편으로 나뉩니다. 유명 스포츠 스타의 전용기나 대기업 회장의 출국 일정같은건이 비정기편의 쉬운 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 부정기편의 종류와 기능, 운항 조건 절차 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부정기편의 종류

부정기편의 기능

부정기편 운항 조건

부정기편 운항 절차

 

부정기편의 종류

1) 전세편 (Charter Flight)
여객 및 화물을 유상으로 임차인과 임대인간 전세 계약을 통해 항공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운항하는 부정기편을 말한다.
※ Public Charter Flight
노선권이 없는 노선에 운항하는 전세 편으로서 전세운송 사업자가 일반인에게 항공 권을 개별 판매하는 부정기 편으로, 이 경우 정기편 편성 업무 절차에 따른다.

2) 임시편 (Extra Flight)
정기편정기 편 운항 노선의 공급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항공 노선의 임시증편으로 정기 편과 동일하게 운영하는 부정기편을 말한다.
※보항편 (Cover Flight)
정기편의 결항으로 인하여 발생한 객화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부정기편을 말한다.

3) 기종 변경 운항 (Aircraft Change)
 영업 목적은 기 편성된 정기 편 및 부정기편의 공급 증대 또는 운항 변동비 절감을 위해 타 기종으로 변경 운항하는 것으로 임시 편 운영과 동일합니다. 
 운항 목적은 사내 제자원 (운항/객실승무원, 지원 능력, 항공기 등)과 운항 제한 사항 (공항, 항로, 국내/외 인/허가 등)을 종합 고려하여 기 편성된 스케줄을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 타 기종으로 변경 운항하는 것으로 임시편 운영과 동일하게 운영됩니다. 

부정기편의 종류
부정기편의 종류

부정기편의 기능

영업 목적으로는 기 편성된 정기 편 및 부정기 편의 공급 증대 또는 운항 변동비 절감을 위해 타 항공기 가동 제고 및 수입 증대입니다. 또 신시장 개발 (미취항 공항 부정기 운항), 정기편 노선 개설 전, 초기단계 시장기반 구축 및 사전 운항 준비의 기능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기편 보완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를통해 정기 편 초과 수요의 유치로 시장 점유율 유지 및 확대를 할 수 있으면서 정기편정기 편 스케줄 보완으로 정기 편 판매 기여합니다.

 

항공기 부정기편의 기능
항공기 부정기편의 기능

 

부정기편의 운항 조건

부정기편의 운항은 영업 목적인 경우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위해 최소한의 이익을 시현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운항지원 능력 및 제약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LCC 항공사의 경우 최근 일본의 경우 수요가 많다 보니 국내 여수 항공편, 제주항공편을 부정기편으로 일본으로 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부정기편 운항 절차

정기편은정기 편은 회사의 제 자원을 투입하여 안전을 확보한 가운데 회사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 해 운항하는 것으로 한계 이익의 시현, 운항지원 능력 확보, 운항 제약 조건의 충족을 전제로 “부정기 운영 절차”에 따라 운영되어야 한다. 부정기편은 이익을 기반으로 하지만 운항 절차 준수가 우선되어야 함은 기본요소입니다.

 

이것으로 항공 스케줄, 부정기편의 운항 조건, 절차, 종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부정기편은 항공 이익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항공사에서는 필수적인 요소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LCC 항공사부터 외국 항공사까지 부정기편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앞으로도 항공사의 행동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