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기초지식

항공화물 운송 알아보기

by fly-hi 2024. 1. 16.

 

항공기는 한번 띄우는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수화물과 더불어 국제 화물 운송물을 싣고 출발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코로나 당시에는 수요가 없는 비행기 내부 전체를 수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으로 개조하기도 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눈으로 잘 볼 수 없는 곳에서 이루어지는 항공화물 운송에 특성, 항공화물 운송의 장단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공산업의 특성
항공산업의 특성

 

 

 

항공산업의 일반적 특성


1. 고정비 비중이 높은 산업

 고가의 항공기 구매 및 여객, 화물터미널의 확보를 위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며, 무게가 증가할수록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고정비 성격의 유류비 비중 또한 증가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운항시 고정비가 항공

 

2. 재고가 없는 산업

먼저 항공기 출발 후 판매되지 않은 여객과 화물의 공급 여유분 자동 소멸되며, 수요 관리 기 및 Revenue Management 기법 발달되어 있습니다.


3. 국제적 경쟁의 양면성

 각국 정부의 자국 항공사 보호 및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항공 운수권 제한 철폐 등의 규제 완화로 글로벌 경쟁 심화되고 있어 양면성이 존재합니다. 



항공화물 운송의 특성

 

먼저 신속성으로 국제적으로 운송시 가장 빠른 운송수단으로 수송시간이 짧고 정시성이 높습니다. 다음으로 안정성은 데 수송 중 진동 및 충격이 적어 화물의 멸실, 훼손이 적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고 운임이며 항공기는 위에 언급한 항공산업의 특성인 유류비 비중이 높아 운임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야행성이며 수송기일 단축을 위해 심야 운항이 선호된다고 합니다. 

구분 여객 화물
수요 방향 왕복 편도
수요 대상 개인 기업
수요 형태 단발적 고정적
예약시점 D-365 D-21

 

항공화물 운송의 장·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점으로는 
1) 신속한 운송으로 수요 변화에 맞추어 상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2) 긴급 수송이 필요한 상품의 가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3) 최소의 포장으로 포장비를 절감할 수 있다.
4) 운송의 안정성이 높아 보험료가 절감된다.
5) 소량의 화물을 빈번히 운송함으로써 보관비를 절감할 수 있다.
6) 상품 생산에서 판매까지의 시간이 짧아 투자 비용의 이자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단점은
중량 (Weight) 과 용적 (Volume)에 대한 제한이 있으며 운임이 다른 운송 수단에 비하여 고가이다.



해상 운송과 항공 운송 비교

 

구분 해상운송 항고운송
수송량 대량운송 소량운송
운송비용 저가 고가
수송빈도 일회성 반복성
하역/통관 장시간 소요 단기간 소요
소비자 접근성 항만시설에 한정 대도시 직접운송

 

 해상 운송은 도착 시기가 민감하지 않은 저가 화물의 대규모 수송에 적합하며 항만시설에 도착 후 소비지로의 이동을 위해 철도 및 육상 운송 수단과의 연계가 필요합니다.
 반면 항공 운송은 도착 시간이 중요한 고가의 화물을 반복적으로 운송하는 데 적합한 방식이며 포장 방 법 및 하역 시간이 해상 운송에 비해 유리하다.
 해상/항공 운송의 수송 규모 및 운임 비교를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수송 규모는 7,000 TEU급 컨테이너선의 수송 규모는 1 TEU (20FT Container)의 표준 공급을 33.2 CBM(Cubic Meter, ICBM=167kg)으로 하여 산출 시 총 38,815톤을 수송할 수 있으며 이를 B747 화물기의 표준 공급 (117톤)을 기준으로 할 때 약 332대 분량의 규모입니다. 
 운임은 운송 노선 및 시기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항공 운송이 해상 운송에 비해 운임이 약 10배가량 비싼 것으로 나타납니다.

 

항공운송의 장점
항공운송의 장점

 

 

 

 

항공운송 대상 품목 알아보기

1. 고부가가치 상품

1) 중량에 비해 운임 부담력이 있는 고부가가치 상품: 반도체, 귀금속, 미술품 등
2) 첨단 IT 제품: 스마트폰, 핸드폰, LCD, 노트북 등
3) 고가의 자동차: 경주용 자동차, 광고 촬영 및 시험용 자동차, Antique 자동차 등
4) 고가의 생산 장비 (Capital Equipment): 반도체, LCD, Solar Panel 등 진동 및 온도 변화에 민감한 고가의 생산 장비

 

2. 긴급성 화물

1) 선박, 항공기, 공장 등의 기계 부품
2) 의약품: 혈액, 혈청 등의 의학상 급송을 요하는 물품
3) 상품 견본, 신문, 잡지, 정기 간행물 등
4) 클레임 예상 화물, 긴급 구호 물자 등

3. 생/동물, 부패성 화물

1) 생/동물: 말 (경주용, 식용, 종마), 대형동물, 애완용 동물 등
2) 부패성 화물: 과일, 화훼류 및 각종 농/수산물
3) 의약품: 운송기간 중 일정한 온도 조절이 필수적인 상품

4. 위험물

위험도가 너무 높아 항공 운송이 금지된 물품도 있고, 화물기로만 운송이 가능한 것도 있으며 여객기/화물기 관계없이 운송이 가능한 품목도 있다.
1) 여객기로 운반 가능한 위험물
UN3166 (Engine류 혹은 Vehicle류) ID8000 (Consumer Commodity), UN1845 (Dry Ice) 및 UN3373 (Clinical Specimens), UN3481 (ELI), UN3091 (ELM)

2) 화물기로만 운반 가능한 위험물
IATA DGR BLUE PAGE 내 Cargo Aircraft Only 내 해당되는 품목
3) 항공으로 운송이 금지된 물품
IATA DGR BLUE PAGE 내 "Forbidden" 으로 표기된 물품

 

이상으로 항공화물의 특성과 대상 품목 해상운송과 항공운송과의 비교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의 경우 지인에게 외국으로 택배를 보내는 경우가 항공운송에 해당하는데 빠르고 편리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항공산업의 특성을 잘 활용한 예로서 우리나라는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항공화물이 경제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임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항공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 운송산업의 발달과정 요약  (1) 2024.01.23
비행원리 알아보기  (0) 2024.01.17
항공기사고 비상대응 알아보기  (0) 2024.01.15
비행장 항행 안전시설  (1) 2024.01.14
Tariff(항공운임) 이해  (1)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