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의 공식 종료가 되면서 그동안 다녀오지 못했던 해외 여행 수요가 폭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여행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항공 운송산업의 발달로 인해서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뒤쳐졌지만 국적기 대한항공을 필두로하여 현재는 다양한 LCC까지 가세하여 항공의 강대국이 되었는데, 이런 항공 운송산업의 시대별 역사와 발달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항공운송의 도입 (1900년대 초반)
1903년 라이트 형제가 최초 동력비행에 성공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까지 수 송기로서의 성능을 기대하기 힘들었으며, 오히려 비행선이 각광받는 시기였습니다. 1911년 최초로 항공기를 이용한 상업목적의 운송활동으로 우편물 운송이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1918년에는 정기운송을 위한 노선 개설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항공기를 운송수단으로 처음 인정하고 정기운송을 시작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국제협약이나 안전에 대해서는 조금 미흡한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민간항공의 개척 (1910년대 후반~ 1930년대 후반)
미국 (Civil Aeronautics Board; CAB) 및 유럽지역 (International Air Traffic Association; IATA)에서 민간항공에 관한 협약 및 위원회가 설립되었으며, 국가의 지원을 받는 민간부문의 정기항공사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 시기는 민간항공이 획기적으로 발전한 시기로 세계 각국에서 상업목적의 민간항공이 시작되었으며, 공항의 건설, 항공 노선 개발, 항공안전시설의 개선에 있어서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습다. 그러나 이 시기 의 항공산업은 투자의 규모에 비해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았으므로 실질적 채산성은 낮았다고 합니다. 우리나의 경우에는 1910년대 일제 강점기였기 때문에 일본의 경제지배를 받다보니 민간항공은 시초를 찾을수 없는 단계였습니다.
※ 1919년 헤이그에서 창설된 유럽지역의 국제항공수송협회 (IATA)를 전신으로 하여, 시카고 회의 이후 1945년 4월 쿠바 하바나에서 30개 항공사에 의하여 현재의 국제항 공운송협회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를 설립하게 되면서 발전의 기틀을 잡았습니다.
민간항공의 성장 (1930년대 후반 ~ 1950년대 후반)
민간항공의 성장을 세분화로 3가지 단계로 또 구분지을수 있습니다. 가장먼저 시장규제의 확립 단계로 미국 정부가 '민간항공법'에 의해 자국 및 외국항공사에 대해 규제할 권한을 가지는 것을 계기로 국제항공운송에서 각 항공사의 외국공항에서의 착륙허가권에 대한 협상을 각국 정부가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두번째로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전 세계의 민간항공은 극심한 침체를 겪었으나, 항공기 성능에 있어서는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신형항공기가 등장하였으며, 대형화로 탑재능력과 운항성능 향상, 장거리 운송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카고 회의와 버뮤다 협정 시기에 국제항공운송 질서의 근간이 되는 시카고 회의 개최, 국제민간항공기구 및 국제항공운송협회 설립, 버뮤다협정 체결이 이루어졌다. 국내에서는 이 단계에 아직까지 대한항공의 시초인 한진 그룹이 크게 항공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알지 못하던 때였습니다.
항공운송산업의 도약과 경쟁(1950년대 후반 ~ 1990년대 후반)
제트기의 개발과 항공여객시장의 도입으로 인해 항공운송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 하였으며, 1970년대 중반 석유파동 이전까지 북대서양 횡단노선의 전세기 취항 확대 등 을 계기로 전 세계적으로 항공여행시장이 크게 확대되었습다.
경쟁의 확대 시기는 1970년대 이후라고 규정 짓습니다. 1978년 미국의 규제완화법 제정은 지금까지 각국 정부에 의해 기간산업으로 보호, 육성 되었던 민간항공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왔다. 정부의 규제완화는 영공개방을 의미 하는 오픈 스카이 (Open Sky) 정책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는 오늘날 세계 항공업계를 주도하는 큰 변화의 요인이 되었다. 항공운송기업의 경영환경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 와 세계적인 경쟁체계로 들어서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항공운 송기업들은 허브-스포크 네트워크 구축 및 컴퓨터 예약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다.
국내에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항공사업을 시작하게 된 시기입니다 .
제휴 그룹 확산 및 시장구조 재편 (1990년 후반 ~ 현재)
규제적 요소가 많았던 시장구조에서 경쟁시장 구조로의 환경 변화 이후, 1990년대 말 제휴그룹 (Alliance Group) 결성이 본격화됨으로써 시장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항공사 중심 경쟁시장에서 제휴그룹 중심 경쟁시장으로 변화하였으며, 글로벌 네트워크의 확충에 중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화물시장의 경우 2000년 이후 캐리어 중심시장에서 바이어 중심시장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문전배송 (Door-to-door Service)을 하는 인 티그레이터 (Integrator)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편, 2001년 미국의 9.11 테러 사건 이후 항공산업에서 보안은 그 어떤 요소보다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었으며, 2008년 하반기 세계 금융 위기는 세계 경기 위축과 더불어 2009년 항공운송산업 침체에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후 코로나19로 인해 다시 한번 항공기 위기를 맞게 되었고 소규모 자본의 일부 항공사는 파산에 이르는 등 마지막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상으로 항공운송산업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나누어 알아보았습니다. 교통수단으로서의 항공교통은 그 최초 비행으로부터 약 100여년의 짧은 역사를 지녔으나, 가장 비약적으로 발전한 교통산업이라고 정의할수 있습니다. 항공운송산업은 항공기의 발달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1900년대 중반 세계 전쟁을 기점으로 비약적 발전을 이룬것으로 요약을 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항공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항공운송 질서의 히스토리 및 주요 과정 (1) | 2024.01.25 |
---|---|
국제항공운송의 주요 역사적 사건 알아보기 (1) | 2024.01.24 |
비행원리 알아보기 (0) | 2024.01.17 |
항공화물 운송 알아보기 (0) | 2024.01.16 |
항공기사고 비상대응 알아보기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