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사란 기존 Full service network carrier에 대비되는 비즈니스모델로 일반적으로 영업이나 운송방식을 획기적으로 낮춘 항공사를 의미합니다. 국내의 경우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 제주항공의 4파전으로 최근에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인해 일부 노선을 받아오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준비 중에 있습니다. 이런 국내 저비용 항공사의 사업환경과 등장 배경과 한국의 저비용 항공사에 현황 등에 대해서 간략하게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 사업 환경의 한계
한국 LCC 시장의 경우 아시아 태평양 항공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합리적 가치 소비로 인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구 규모에 비해 많은 수의 항공사가 운항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 LCC들 대부분은 한국발 판매에 상당 부분 의존하는 편중된 유통채널을 가짐에 따라 가격경쟁이 치열하며, 최근에는 초저가로 무장한 외국계 LCC들이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을 공략하기 시작하여 중/단거리 노선에서의 경쟁은 더욱 심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LCC 인프라의 미비에 따른 저원가 체제 구축의 한계는 또 하나의 성장 저해 요인으로서 현재와 같은 한국형 저비용항공사 LCC 사업 모델로 지속 성장하는 일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 저가 항공사들은 지방공항을 기점으로 활로를 모색하고 중국 부정기 운항에 주력하는 등 나름대로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생존을 위해서는 현재의 수익성 모델을 다각화하기 위한 근본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 등장 배경
미국의 경우 땅의 면적이 넓어 육상교통만으로 내륙을 이동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항공운송에 대한 잠재적 수요 규모가 방대했습니다.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의 항공운송수단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저비용항공사가 등장하게 되었고 Point-to-Point 노선 운영을 통해 기재의 가동률을 제고하며 그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Secondary Airport 및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Outsourcing 업체의 활용을 통해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였고, EU-Package 등 항공시장이 자유화되면서 LCC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좁은 국토 면적 내에서 육상교통인 고속도로, 고속철도가 발달한 관계로 내륙의 항공수요가 미미하여 대표적인 섬 관광지를 연결하는 제주 노선을 제외하고는 국경을 넘어가는 중단거리 국제선 운항에 주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나마 주변국과의 규제적 환경으로 인해 특히, 잠재적 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 국과의 Open Sky 협정 미 체결로 운항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고, 기존의 대형항공사들이 이미 Point-to-Point 방식으로 운항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내선의 경우는 No- Frills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서구형 LCC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쉽지 않은 환경이었습니다. 게다가 중정비업체의 부재나 LCC 전용 터미널의 부재와 같은 LCC 인프라의 미비 등으로 인해 더 이상의 저원가 구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으며 안전을 우려하고, 기존 대형항공사들의 고 편익 서비스에 익숙한 국내 여행객들의 대형항공사 선호 성향으로 인해 FSC와 LCC의 비즈 니스 모델 특징을 상호 벤치마킹하는 즉, 가격과 서비스를 절충하는 일종의 한국형 하이브리다 LCC 형태의 사업 모델을 차용하게 되습니다.
성공적 저비용항공사(LCC) 사례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은 미국의 Southwest Airlines의 성공사례를 보고 영감을 받아운영 참고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1967년 설립된 미국의 Southwest Airlines은 전통적인 LCC 모델의 대표적 사례인데 미국 텍사스를 거점으로 하여 B737 3대로 운항을 개시하였던 이 항공사는 현재 약 700여 대의 항공기를 운영하는 거대 항공사로 성장하였다.
구분 | 주요특징 |
노선 운영 | 500마일 이내의 Point-to-Point 노선 운영 |
운임 | 단순한 운임체계 제한사항이 적은 저가 운임 (고속버스 및 철도와 경쟁) |
서비스 | No Frills (No Meal, No Seat Assign, No Connecting) |
취항 공항 | 시내인접 소규모 공항 |
노조 | 노사와 동반자적 관계로, Profit Sharing System |
경영진 | 강력한 Leadership |
위에서 살펴본것과 같이 국내 저가 항공사 LCC는 길지 않은 역사이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내 저가항공사의 환경의 한계와 국내저비용항공사 등장 배경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중저가 선호 중산층 및 서민층을 고객 타깃으로 하는 저가항공사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라봅니다.
'항공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실승무원의 자격과 임무 알아보기 (0) | 2024.01.29 |
---|---|
항공사 Revenue Management과 오버부킹(초과예약) (1) | 2024.01.28 |
항공운송산업과 항공운송시장의 특성 알아보기 (2) | 2024.01.26 |
국제항공운송 질서의 히스토리 및 주요 과정 (1) | 2024.01.25 |
국제항공운송의 주요 역사적 사건 알아보기 (1) | 2024.01.24 |